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병역의무
- 병무용진단서
- 산업기능요원
- 승선근무예비역
- 현역모집병
- 평화체제
- 정전협정
- 대체역
- 유엔사
- 카투사
- 편입취소
- 보충역
- 이승만
- 지방세면제
- 전시근로역
- 취업맞춤특기병
- 평화협정
- 참전수당유족승계
- 병역판정검사
- 작전통제권
- 정전체제
- 재신체검사
- 전작권
- 전시작전통제권
- 사회복무요원
- 유족승계
- 지방세면세
- 면세혜택
- 전문연구요원
- 한국전쟁
- Today
- Total
목록유엔사 (2)
생각 도서관

제2장 작전통제권 이양(移讓) 제1절 한국전쟁 발발 초기의 작전지휘권 이양 1. 한국전쟁 직전의 국군 현황 해방 후 3년 간의 미 군정을 거쳐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1946년 1월 15일 남조선 국방경비대가 창설되었는데, 정부 수립과 함께 육군으로 개칭되어 국군에 편입되었다. 1945년 11월 11일 해방병단이 창설되었고 1946년 6월 15일 조선해안경비대로 개칭되었다가 정부 수립 이후 1948년 9월 1일 국군으로 편입되었으며 1948년 9월 5일 해군으로 개칭되었다. 이 무렵까지 공군은 존재하지 않았다. 1948년 11월 30일 국군조직법이 제정되었는데, 제2조를 보면 “국군은 육군과 해군으로써 조직한다.”고 되어 있다. 공군이 빠져 있다. 지금 보니 좀 신기하게 ..

※ 정전협정 체결을 목전에 둔 1953년 7월. 한국의 이승만 대통령은 북진통일을 주장하며 정전협정 체결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었다. 이런 이승만을 설득하기 위해 파견된 로버트슨 특사는 치열하게 한국 정부와 협상을 벌였다. 군사쿠데타로 이승만 정부를 엎어버리려는 '에버레디 계획'(Everready Plan)등의 채찍과, 한국군에 물자와 장비를 공여하는 당근 등 강온전략을 펴던 중 드디어 이승만 대통령과의 마지막 담판이 마련되었다. 아래는 이 무렵의 협상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 미 합동참모본부 발간 p.419~420 (1990년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역) 이-로버트슨 협상의 절정은 7월 9일에 도래하였다. 첫째로 두 사람은 비공개 회담을 가졌는데, 여기에서 이 대..